2019년 쓰레기 내쳐 교육


고양 특례 시, 2030년 인구 114만 명 규모 630t 소각로 신설 필요

- 폐기물처리 시설 건설 사업 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

쓰레기 소각품


고양시(시장 이동환)는 지난 4월 2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박원순 제1부시장과 폐기물처리 시설 입지 선정위원회 등 관계자 35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양시 폐기물처리 시설 건립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그리고 새로운 폐기물 처리 시설 TF 팀구성,

용역 결과 2030년 인구 114만 명에 비해 하루 630톤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6년부터 정부의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접 매립 금지 정책과 고양시 생활폐기물의 효율적 처리 방안 수립을 위해 2030년 인구예측은 114만 명(외국인 포함).

쓰레기 분리 의 필요성 교육


▲ 종량제 생활폐기물 361톤 ▲ 재활용 잔재물 35톤의 쓰레기▲음식물 협작물7톤▲대형폐기물38톤▲하수슬러지83톤 등 1일 524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위해 하루 630톤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외에 하루 140톤을 처리할 수 있는 재활용 선별시설을 설치해야 하며, 음식 물류 폐기물은 기존 고양 바이오매스 에너지시설과 폐기물 처리 시설을 설치해 처리할 계획이다.

또 소각시설 신설을 위해서는 4만 3,470㎡의 부지와 2만 4,463㎡의 주민 편의시설 부지가 필요한데, 총 사업비는 국고보조금을 포함해 약 4,163억 원, 주민 편의시설에는 568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우기시 창릉천 쓰레기


시는 고양시 폐기물처리 시설 건립사업 타당성 조사 결과를 토대로 ▲폐기물처리 시설 설치 계획 ▲ 폐기물 처리 시설 위치 선정 위원회의 역할▲주변지역 지원계획 등 입지 결정 계획을 28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용역보고회에서는 고양시와 도의원, 시의원, 시민·건축·환경·법률 대표 등으로 구성된 입지 선정위원회 위원 14명이 위촉됐다. ▲ 폐기물처리 시설의 위치를 결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사업에 따른 사회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광역소각로 설치를 추진했지만 지자체 여건상 국민적 이해와 국회 동의 등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라고 말했다